티스토리 뷰
요즘에는 거의 모든 노트북이 SSD를 기본 탑재하고 나오고 있네요. 예전 구형 HDD 를 쓰다가 SSD를 신세계를 경험할만큼 속도 체감이 크니까요. SSD보다 더 빠른 NVME까지도 요즘은 많이 사용하는것 같아요. 
💬 SSD 종류에 관하여?
SSD = Solid state drive 의 약자입니다.  고형 상태 보조기억장치 정도로 해석이 될까요. 고체상태 + 트랜지스터를 의미합니다. SSD는 저장장치의 한 종류이지만 하드디스크는 아닙니다. 구조가 다르며 구동부가 없어 소음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. 
SSD 종류를 나눔에 있어 SATA2, SATA3 기반의 기본 SSD와  NVMe 인터페이스 기반의 SSD로 나눌수 있습니다.  SATA2 SSD는 300MB/s, SATA3 ssd는 500MB/s 정도의 대역폭이 나옵니다. 
NVMe SSD는 읽기 속도가 2,000MB/s를 넘기며, 쓰기 속도 1,500MB/s를 넘어가는 성능을 자랑하는데 어마어마 하죠. (NVMe는 고성능인 만큼 발열이 좀 있습니다.) 
💭 SSD의 장점
 ▪대역폭이 크다.(기존 하드디스크의 비하여 몇 배는 높은 대역폭)
 ▪랜덤 액세스 속다가 빠름(임의의 파일을 찾는 데 걸리는 속도)
 ▪자기장으로부터 안점함.
 ▪무소음 실현
 ▪전력소모가 적음
 ▪작고 , 가볍다( 노트북의 경량화에 한목 하겠죠.) 
 ▪충격에 강함(모터부가 없기 떄문입니다.)
💨 SSD의 단점
 하드디스크의 비하여 아직 가격이 높음 
 NVMe M.2 SSD 는 발열이 좀 높음
🆘 노트북 SSD 교체하는 방법 & 유의점
우선 노트북의 SSD를 교체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노트북에 SSD를 지원하는지 알아보아야 합니다. SSD에는 2.5인치 SATA 지원 모델과 M.2 사이즈 SATA지원& NVME지원 모델이 있어요. 
요즘 나오는 노트북은 기본으로  M.2 사이즈로 장착되어 나오는데요. 용량 확장을 위해서 교체 하기 위해서 그 M.2 포트가  SATA만 지원하는지 NVME까지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해요. 겉모습은 비슷하기 생겼기 떄문인데요. 
*위에 사진은 제 노트북의 뒷판을 열은 모습입니다. SSD1 슬롯은 SATA 슬롯이라 NVME SSD를 끼워도 인식이 안되요. 
1) 우선 SSD슬롯 규격이 확인 되었다면 구매한 SSD를 빈 슬롯에 끼워 주어야 합니다. 약 30도 정도로 기울어진 방향으로 넣어서 끼워주세요. SSD슬롯의 핀에 맞춰 주어 살짝 넣어주면 됩니다. 
2) SSD가 잘끼워졌따면 반대쪽 방향에 나사를 잘 조여주세요. 
3) 만약 방열판을 지원한다면 방열판을 끼고 나사를 조여주세요. 
4) SSD가 잘 설치되었는지 BIOS나 부팅을 하고 확인해 보면 됩니다.
'전자기기 IT&GAM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크롬 팝업차단 , 해제 방법 (0) | 2020.12.24 | 
|---|---|
| 주연테크 조립컴퓨터 Tiny 56x37 사용기 (0) | 2020.12.04 | 
| 그래픽카드 지지대 ORBIS GM70 (0) | 2020.11.19 | 
| 이엠텍 RTX3070 블랙에디션 사용기 (0) | 2020.11.18 | 
| 라이젠 4세대 5600x 조립컴퓨터 견적 (0) | 2020.11.18 | 
					댓글
						
					
					
					
				
			
										공지사항
										
								
							
									최근에 올라온 글